본문 바로가기
일상꿀정보

자동차 번호판 의미

by 스마일캔디 2022. 2. 18.
반응형

자동차라면 주민등록번호처럼 붙어있는게 있죠? 바로 자동차 번호판입니다. 

차를 얻게되면 등록하면서 번호판을 부여 받는데, 번호판 조회로 차주 및 정보 등을 알 수 있습니다. 

현재 자동차 번호판이 되기까지 여러번의 변화 과정이 있었습니다. 그리고 번호판 자릿수와 문자 등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.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자동차 번호판 역사

  • 1973년 : 초록색 바탕에 하얀색 글자를 넣는 방식(예 : 경기1 4978)
  • 1996년 : 차종 기호를 두 자리 숫자로 늘린 번호판 등장(예 : 경기 66 2930)
  • 2004년 : 지역감정 해소를 위해 번호판에서 지역명이 사라진 '전국 단일 번호판 체계' 도입
  • 2006년 11월 : 자동차 번호판을 멀리서 식별하기 어렵다는 논란발생으로 지금의 형태로 변경
  • 2019년 9월 : '3자리 숫자, 한글, 4자리 숫자'로 이루어진 번호판 사용
  • 2020년 7월 : 태극 문양, 국가축약 문자, 위/변조 방지 홀로그램등이 가미 된 8자리 반사필름식 번호판이 도입 

번호판 특징(2020년 7월~현재)

자동차 번호판의 앞자리 아라비아 숫자는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고, 뒤에 4자리 숫자는 임의의 일련번호로 매겨집니다. 

문자와 색상은 영업용 차량, 영업용 일반차량, 택배차량, 렌터카, 사업용차량, 건설기계용 차량, 전기차, 수소차와 같은 친환경용 차량 등 차량의 용도를 알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댓글